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내 월급은 얼마?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 연봉 실수령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받는 월급은 연봉에서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제외 하고 받는 금액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매년 공제되는 금액의 차이가 발생하는데요. 2022년 연봉이 올랐으니 공제 금액도 달라질 텐데요. 실수령액을 다음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를 통해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같이 보면 도움 되는 꿀팁

📌 홈택스 세금 환급 신청 방법

📌 휴대폰 통신비 미환급금 조회 방법 3가지 및 신청하기

📌 파킹통장 추천 TOP7 및 적용금리

2022년 연봉 실수령액 썸네일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다음은 연봉 1,000만원부터 1억5000만원까지의 2022 연봉 실수령액 표 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 월급 실수령액과 공제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공제액 합계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가 포함 됩니다.

*아래 연봉 실수령액 표는 부양가족수(본인포함) 1인 / 퇴직금 별도 / 비과세액 10만원을 기준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1. 1,000만원 ~ 2,900만원

  • 연봉 1,000만원 : 실수령액 77만원
  • 연봉 1,500만원 : 실수령액 114만원
  • 연봉 2,000만원 : 실수령액 152만원
  • 연봉 2,500만원 : 실수령액 189만원

연봉 1,000만원에서 1,200만원까지는 소득세, 지방소득세가 면제 됩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1000만원-2900만원

2. 3,000만원 ~ 4,900만원

  • 연봉 3,000만원 : 실수령액 224만원
  • 연봉 3,500만원 : 실수령액 258만원
  • 연봉 4,000만원 : 실수령액 291만원
  • 연봉 4,500만원 : 실수령액 323만원

월급 300만원 넘는 시점은 연봉 4,200만원 입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3000만원-4900만원

3. 5,000만원 ~ 6,900만원

  • 연봉 5,000만원 : 실수령액 355만원
  • 연봉 5,500만원 : 실수령액 386만원
  • 연봉 6,000만원 : 실수령액 418만원
  • 연봉 6,500만원 : 실수령액 450만원

월급 400만원이 넘는 시점은 연봉 5,800만원 입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5000만원-6900만원

4. 7,000만원 ~ 8,900만원

  • 연봉 7,000만원 : 실수령액 478만원
  • 연봉 7,500만원 : 실수령액 503만원
  • 연봉 8,000만원 : 실수령액 531만원
  • 연봉 8,500만원 : 실수령액 559만원

월급 실수령액 500만원 넘게 받으려면 연봉 7,500만원이 되야 합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7000만원-8900만원

5. 9,000만원 ~ 10,900만원

  • 연봉 9,000만원 : 실수령액 586만원
  • 연봉 9,500만원 : 실수령액 614만원
  • 연봉 10,000만원 : 실수령액 642만원
  • 연봉 10,500만원 : 실수령액 675만원

연봉 1억 실수령액 월급은 642만원 입니다. 1명이 1억을 버는 것 보다 2명에서 5,000만원씩 1억을 받는 게 더 많은 월급을 받는 방법입니다.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9000만원-10900만원

6. 11,000만원 ~ 12,900만원

  • 연봉 11,000만원 : 실수령액 696만원
  • 연봉 11,500만원 : 실수령액 719만원
  • 연봉 12,000만원 : 실수령액 741만원
  • 연봉 12,500만원 : 실수령액 752만원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11000만원-12900만원

7. 13,000만원 ~ 15,000만원

  • 연봉 13,000만원 : 실수령액 774만원
  • 연봉 13,500만원 : 실수령액 797만원
  • 연봉 14,000만원 : 실수령액 819만원
  • 연봉 14,500만원 : 실수령액 842만원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 13000만원-1500만원

2022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방법

연봉 실수령액은 공제금액(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의미 합니다.

매년 세금 및 보험료율에 따라 실수령의 차이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연봉 세율 및 보험료율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월 소득액을 기준으로 일정% 만큼 부과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일정% 만큼 부과 됩니다.

지방소득세는 근로소득세를 기준으로 일정% 만큼 부과 됩니다. 근로소득세는 국세청 홈페이지의 근로소득세 간이세액표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4대 보험요율
국민연금4.5%
건강보험3.495%
장기요양보험요12.27%
고용보험0.9
근로소득세간이세액표 참고
지방소득세10%
  • 국민연금 : 월 소득액 x 4.5%
  • 건강보험 : 월 소득액 x 3.495%
  • 고용보험 : 월 소득액 x 0.8%
  • 장기요양 : 건강보험 : 12.27%
  • 지방소득세 : 근로소득세 x 10%
  • 근로소득세 : 근로소득세 간이세액표 참조

2022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부양가족수가 2명 이상이고 20세 이하 자녀수가 있는 분들은 연봉 실수령액 표랑 다르게 적용 됩니다. 검색 하면 나오는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중 네이버 연봉계산기를 추천 드립니다.

시급, 연봉, 퇴직금, 실업급여를 계산 할 수 있으며,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른 연봉을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연봉 관련 Q&A

5,000만원 / 부양가족 4명 / 20세 이하 자녀 2명인 사람의 실수령액은 얼마일까?

국민연금, 건강보험,요양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가 공제가 되는데요. 공제 후 2022년 연봉 실수령액은 370만원 입니다. 연봉 실수령은 4,4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600만원을 연금과 세금으로 빠지게 되는데요. 생각보다 많이 공제됩니다.

실제 내 연봉을 계산해 보면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는 회사마다 소득세, 건강보험료, 인센티브 등 적용률이 다른 경우가 발생 하기 때문입니다.

2022년 최저시급 연봉은 얼마일까?

2022년 최저시급은 9,160원 입니다. 하루 8시간, 주5일 월 근로시간은 주유시간 35시간을 포함해서 209시간이죠. 월급으로 계산하면 191만원입니다.

191만원은 세전 월급입니다. 다시 계산하면 연봉 2,292만원인데요. 2022년 연봉 실수령액 표를 기준으로 세후 월급은 170만원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식대, 교통비, 시간외 근로수당, 연차수당이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주휴수당도 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하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퇴직금 포함 월급 실수령액은 어떻게 계산 할까?

퇴직금이 포함된 경우 연봉을 13개월로 나누어 월 임금을 산정 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은 퇴사 전 3개월의 평균월금으로 산정되며 약 30일 분의 평균임금으로 1달 급여와 비슷하게 산정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퇴직금 포함 연봉으로 회사에서 안내 받은 경우 13으로 나누어 월급을 계산 해야 합니다.

같이 보면 도움 되는 글

📌 경차 유류세 환급 카드 조건 6가지

📌 숨은 보험금 찾는 방법, 내 보험금 찾기

📌 내 가입 보험 확인 하기 5가지 방법